-
[부동산 레이더] 9월 부동산시장 동향
9월 광역 밴쿠버 지역 부동산 시장은 지난 7월 이후 3개월 연속 거래감소 추세가 이어졌다. 부동산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에도 가격의 오름세는 지속됐으며 부동산 경기와는 상관없이 필요한 내 집 장만을 앞당기겠다는 실수요자층과 장기적 투자대상으로서 부동산을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신혼부부와 은퇴자를 중심으로 하는 콘도 매매와 고소득층의 투자용 부동산 구입은 여전히 강세를 보여 아파트 거래량은 전체 거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소폭 증가했다. 특히, 웨스트 밴쿠버와 선샤인 코스트지역의 단독주택가격 상승률은 20%대를 훨씬 웃돌았다. 부동산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월 한달간 광역밴쿠버지역의 부동산 전체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5%가 감소(2853건)했다. 반면 평균거래가격(단독주택기준)은 50만4650달러로 지난해에 비해 평균 14.8%가 올랐다. 또, 타운하우스의 경우는 평균거래가격이(32만7300달러) 지난해 동기대비 16.4%, 아파트는(24만4530달러) 17.0%가 올랐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의 경우 총 1333건의 거래가 성사됐으며 웨스트밴쿠버(26.7%), 리치몬드(22.7%), 밴쿠버 이스트(21.9%)지역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거래량이 지난해에 비해 30.6% 감소한 타운하우스(392건)는 메이플리지(22.4%), 밴쿠버 웨스트(20.4%)지역에서 많이 뛰었다. 단독주택(1128건)은 거래는 26.8% 감소했지만 웨스트 밴쿠버(29.9%), 선사인코스트(20.1%)지역에서 가격이 크게 올랐다. 반면 포트무디(43만3770)는 1년 전에 비해 5.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표-1] 주요지역별 주택가격(단독주택) 버나비 46만8870달러(13.7%) 코퀴틀람 41만3550달러(10.8%) 메이플리지 32만2400달러(15.5%) 뉴웨스트민스터 35만8120달러(18.7%) 노스밴쿠버 57만5070달러(12.7%) 포트무디 43만3770달러(-5.5%) 포트코퀴틀람 36만2720달러(11.6%) 리치몬드 47만4630달러(11.5%) 밴쿠버웨스트 79만7000달러(12.2%) 웨스트밴쿠버 93만9360달러(29.9%) [표-2] 주요지역별 주택가격(타운하우스) 버나비 30만3420달러(19.2%) 코퀴틀람 27만4380달러(13.5%) 델타 29만6610달러(18.1%) 메이플리지 21만0130달러(22.4%) 노스밴쿠버 39만6360달러(10.1%) 포트무디 23만7020달러(12.6%) 포트코퀴틀람 27만6260달러(13.4%) 리치몬드 31만2730달러(14.0%) 밴쿠버웨스트 46만4600달러(20.4%) 웨스트밴쿠버 69만9660달러(14.4%) [표-3] 주요지역별 주택가격(아파트) 버나비 21만3880달러(17.4%) 코퀴틀람 18만8050달러(13.3%) 메이플리지 13만5030달러(6.3%) 뉴웨스트민스터 18만1550달러(18.1%) 노스밴쿠버 24만8680달러(19.2%) 포트무디 20만3550달러(20.8%) 포트코퀴틀람 15만2000달러(17.5%) 리치몬드 21만9970달러(22.7%) 밴쿠버웨스트 27만8770달러(14.8%) 웨스트밴쿠버 47만8550달러(26.7%) 자료 : MLS, 괄호안은 1년전대비 상승률
밴쿠버 조선
2004-10-14 00:00:00
-
[부동산 레이더] 9월 부동산시장 동향
9월 광역 밴쿠버 지역 부동산 시장은 지난 7월 이후 3개월 연속 거래감소 추세가 이어졌다. 부동산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에도 가격의 오름세는 지속됐으며 부동산 경기와는 상관없이 필요한 내 집 장만을 앞당기겠다는 실수요자층과 장기적 투자대상으로서 부동산을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신혼부부와 은퇴자를 중심으로 하는 콘도 매매와 고소득층의 투자용 부동산 구입은 여전히 강세를 보여 아파트 거래량은 전체 거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소폭 증가했다. 특히, 웨스트 밴쿠버와 선샤인 코스트지역의 단독주택가격 상승률은 20%대를 훨씬 웃돌았다. 부동산협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9월 한달간 광역밴쿠버지역의 부동산 전체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5%가 감소(2853건)했다. 반면 평균거래가격(단독주택기준)은 50만4650달러로 지난해에 비해 평균 14.8%가 올랐다. 또, 타운하우스의 경우는 평균거래가격이(32만7300달러) 지난해 동기대비 16.4%, 아파트는(24만4530달러) 17.0%가 올랐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의 경우 총 1333건의 거래가 성사됐으며 웨스트밴쿠버(26.7%), 리치몬드(22.7%), 밴쿠버 이스트(21.9%)지역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거래량이 지난해에 비해 30.6% 감소한 타운하우스(392건)는 메이플리지(22.4%), 밴쿠버 웨스트(20.4%)지역에서 많이 뛰었다. 단독주택(1128건)은 거래는 26.8% 감소했지만 웨스트 밴쿠버(29.9%), 선사인코스트(20.1%)지역에서 가격이 크게 올랐다. 반면 포트무디(43만3770)는 1년 전에 비해 5.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표-1] 주요지역별 주택가격(단독주택) 버나비 46만8870달러(13.7%) 코퀴틀람 41만3550달러(10.8%) 메이플리지 32만2400달러(15.5%) 뉴웨스트민스터 35만8120달러(18.7%) 노스밴쿠버 57만5070달러(12.7%) 포트무디 43만3770달러(-5.5%) 포트코퀴틀람 36만2720달러(11.6%) 리치몬드 47만4630달러(11.5%) 밴쿠버웨스트 79만7000달러(12.2%) 웨스트밴쿠버 93만9360달러(29.9%) [표-2] 주요지역별 주택가격(타운하우스) 버나비 30만3420달러(19.2%) 코퀴틀람 27만4380달러(13.5%) 델타 29만6610달러(18.1%) 메이플리지 21만0130달러(22.4%) 노스밴쿠버 39만6360달러(10.1%) 포트무디 23만7020달러(12.6%) 포트코퀴틀람 27만6260달러(13.4%) 리치몬드 31만2730달러(14.0%) 밴쿠버웨스트 46만4600달러(20.4%) 웨스트밴쿠버 69만9660달러(14.4%) [표-3] 주요지역별 주택가격(아파트) 버나비 21만3880달러(17.4%) 코퀴틀람 18만8050달러(13.3%) 메이플리지 13만5030달러(6.3%) 뉴웨스트민스터 18만1550달러(18.1%) 노스밴쿠버 24만8680달러(19.2%) 포트무디 20만3550달러(20.8%) 포트코퀴틀람 15만2000달러(17.5%) 리치몬드 21만9970달러(22.7%) 밴쿠버웨스트 27만8770달러(14.8%) 웨스트밴쿠버 47만8550달러(26.7%) 자료 : MLS, 괄호안은 1년전대비 상승률
밴쿠버 조선
2004-10-14 00:00:00
-
오수정화시스템(Septic System)-2
김동원 / 홈 인스펙터Cell:604-868-7344Email: geoinspec@hotmail.com 오수정화시스템(Septic System)-2 ■ 시스템 실패 징후 -드레인 필드 위의 풀이 유독 다른 지역보다 푸르고 잘 자란다. -부패탱크 주변이나 드레인 필드의 흙이 스폰지 같이 축축하게 젖어있다. -가끔 불쾌한 하수 냄새가 난다. 특별히 비가온후 더 심하다. -검은 액체가 지표면에 고여 있거나 집안으로 역류한다. -집 근처 호수나 연못에 수초의 성장이나 이끼 생성된다. -우물물에서 높은 수치의 질산과, 박테리아, 그리고 다른 오염물질이 검출된다. ■ 유지관리 ① 부패탱크는 매년 인스펙션하여 필요 시 펌프 한다: 고형물이 탱크에 가득 차 드레인 필드로 유출되면 값비싼 보수 비용이 들것이다. ② 부패탱크에 해로운 물질을 방류하는 것을 삼간다: 그리스, 종이, 담배꽁초, 커피 그라운드, 네프킨, 솔벤트, 오일, 페인트, 케미컬 등 ③ 부패탱크에 생화학 첨가물 사용을 피한다: 첨가물은 부패탱크의 성능을 개선하지 못하고 펌핑을 대체하지 못한다. 일부는 박테리아를 죽이는 결과를 초래하고 환경에 해로울 수가 있다. ④ 물을 현명하게 사용한다: Septic시스템의 당초 설계용량 이상의 물 사용을 삼간다. 3-Bed는 일일 450gallon 4-Bed는 480gallon이다. Septic System 실패 가장 큰 원인중의 하나가 디자인된 양보다 많은 물 사용에 있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겠다. 물의 사용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절약형 설비를 사용하고 세탁의 경우 하루에 몰아서 하는 것보다 분산해서 할 필요가 있고 배관에서의 누수는 즉시 보수를 해야 되겠다. ⑤ 음식분쇄기 사용을 제한한다: 음식 분쇄기(Garbage disposal)는 Septic시스템에 상당한 양의 고형물 축적 원인이기에 Septic시스템에서는 사용을 안 하는 것이 좋겠다. 이미 설치 되어있다면 사용회수를 줄여준다. ⑥ 드레인 필드나 부패탱크 위에 패티오, 주차장, Deck의 설치를 금하며 조경 플라스틱 커버도 하지 않는다: 시스템은 관리나 보수를 위해 항상 접근 가능하도록 유지되어야 하며, 드레인 필드는 정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흙 속에 스며든 폐기물을 소화 분해하는 미생물에 산소 공급이 필요하다. 흙이 다져졌거나 포장되어 있다면 산소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⑦ 모든 차량의 셉틱 탱크 및 드레인 필드 접근을 금지한다: 차량 통행은 시스템 손상의 주요원인 중 하나이다. 부패탱크는 대체로 차량하중에 견디도록 디자인 되어 있지 않기에 균열이나 붕괴의 가능성이 있고 드레인 필드 파이프도 쉽게 깨질 염려가 있다. 그리고 차량에 의한 흙의 압밀은 정상배수를 방해한다. ⑧ 지붕이나 지표면의 우수는 드레인 필드나 부패탱크로부터 멀리 처리한다: 드레인 필드에 추가적인 물 처리 부담은 집안에서 물을 설계용량 이내로 절약 사용하여도 쉽게 시스템 실패를 가져올 수가 있다. ⑨ Hot Tub물의 Septic 탱크로 직접방류를 하지 않는다: 잔류 염소를 가진 많은 양의 물을 Septic시스템에 방류한다는 것은 매우 해로운 것이다. 시 규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⑩ 모든 유지관리 행위에 대한 기록을 해둔다. ⑪ Septic시스템의 요소에 대한 위치를 알아둔다: 셉틱탱크, 펌프탱크, 드레인 필드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해둘 필요가 있다. ⑫ 드레인 필드 주변에 나무나 관목의 시재를 삼간다: 특별히 버드나무나 포플라 나무는 물이 있는 먼 거리도 뿌리가 번져 유공 파이프의 구멍을 막을 염려가 있다. ■ Septic 시스템 이격거리 제한 ▶Septic탱크로부터 최소 거리: 15m: 우물, 호수, 강, 개울 등 1.5m: 수영장을 포함한 빌딩 구조체 3m: 대지 경계 ▶드레인 필드 파이프로부터 최소거리: 15m: 적어도 6m 아래 케이싱을 갖는 우물 30m: 식수로 사용되는 우물 5m: 빌딩 구조체 3m: 대지 경계 15m: 강이나 호수 등
밴쿠버 조선
2004-10-08 00:00:00
-
-
나무 벽난로(Woodburn fireplace)
장홍순과 함께 풀어보는 부동산 Q & A 나무 벽난로(Woodburn fireplace) Q : 나무 벽난로를 갖고 있는 주택은 보험 드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A : 나무 벽난로를 갖고 있는 주택을 화재 보험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사항을 사전에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비록 BCREA의 ‘Property Disclosure Statement’에 이러한 것에 대한 언급이 있기는 하지만, 그 주택이 보험에 들어 있다거나 보험에 가입할 수 있다는 등의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해 주지는 않습니다. 첫째, 나무 벽난로는 CSA나 UCL등 적절한 표준검사에 합격한 제품이어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보험회사의 개별적인 특별승인이 필요합니다. 둘째, 굴뚝은 해당시의 건축기준 및/혹은 보험회사의 기준요구 사항에 맞아야 합니다. 셋째, 나무 벽난로의 클리어런스(clearances) 및 불연재 기초는 해당 시 및/혹은 보험회사의 기준요구 사항에 맞추어 설치 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넷째, 보험 가입 신청이 되어야 하며 또한 그 주택에 나무 벽난로가 있다는 내용의 통지가 보험회사로 가야만 합니다. 이런 경우 보험회사는 보험 신청을 수락할 수도 있고, 거절할 수도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 보험료를 부과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금번기고는 ‘Real Estate Council of BC’의 ‘License Practice Manual’을 주로 참고하였음을 밝혀 둡니다. ■ 의문사항이나 자세한 내용이 알고 싶으시면 604)537-3956으로 전화 주시기 바랍니다.
밴쿠버 조선
2004-10-08 00:00:00
-
예일타운 파크
예일타운 파크"예일타운의 주거 중심으로 우뚝 선다" 편리한 아파트에서 다운타운의 혜택 모두 누려 부동산 관계자들에게 최근 몇 년간 가장 빠른 성장을 한 지역을 꼽으라면 예일타운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예일타운의 고층 아파트는 몇 년 사이에 집값이 40~50% 가까이 오른 곳도 쉽게 찾을 수 있을 만큼 가장 빠른 가격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밴쿠버 다운타운의 한 축으로 급속한 성장을 거듭한 예일타운은 지난 1980년대 후반까지 각종 창고가 들어서 있었던 공업 지역이었다. 그러나 이곳이 주거지역으로 개발 되기 시작하면서 창고 건물은 각종 레스토랑, 바, 패션 부티크, 커피숍, 스파 등으로 바뀌었고, 바다를 내려다보는 고층아파트가 속속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고층아파트가 들어서 있는 예일타운의 주거지역은 다운타운 남서쪽 넬슨가와 만나는 해밀턴, 퍼시픽 블루바드, 펄스크릭 해안가를 따라 촘촘하게 조성돼 있다. 특히 퍼시픽 플레이스라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 콩코드(Concord)를 포함해 BC주의 내노라하는 대형 건설업체가 예일타운 곳곳에 30층이 넘는 고급 콘도를 여럿 지어왔다. 이렇게 광역밴쿠버 중에서도 가장 활발한 개발로 대형 주거지가 들어설 공간이 거의 없어진 이곳에 고급 고층 아파트 3개 동이 들어서는 예일타운 파크(Yaletown Park)가 주목을 받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예일타운 파크는 대형 고층건물을 주로 시공해온 '예일타운 파크 콘도미니움 프로퍼티사'가 건설을 맡았으며, 3차에 걸쳐 3채의 튼튼한 콩크리트 고층 아파트가 예일타운의 심장부에 들어서게 된다. 고급스러운 내부에 들어서면 와인 보관소와 로멘틱 한 분위기의 바 스툴이 눈길을 끌며, 주방에는 스타일을 뽐내는 체리나 단풍나무로 만든 유리문 케비넷, 모던한 감각의 조리대 등이 도심 특유의 현대적 분위기를 살려준다. 아파트 구매자들은 오는 2006년 봄에 입주하게 되며, 주변에는 어번페어를 비롯한 각종 가게와 그랜빌 아일랜드, 다운타운 상업지역이 있어 쇼핑과 일상생활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예일타운 지역은 특별히 젊은 부부들과 안정된 직업을 갖고 있는 독신 남녀들이 많이 살고 있는데, 일터가 다운타운이고 일과 후 도심속에서 여가생활을 즐기려는 이들에게는 최적의 입지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비교적 녹지가 부족하지만 펄스크릭 해안가를 따라 이어지는 산책로(Sea Wall)와 데이비드 램 공원, 라운드하우스 커뮤니티 센터 등이 있어 지역 주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예일타운 파크의 1베드룸 가격은 540sq.ft. 1베드룸이 29만4천~30만3천달러, 633sq.ft.의 1베드룸과 덴이 25만5천달러이고 2베드룸의 경우 27만~40만달러의 가격을 붙이고 있다. 또한 타운하우스의 경우 36만~50만달러 사이로 다른 지역에 비해 분양가가 비싼 편이다. 문의 604-694-1610 www.yaletownpark.com 프레젠테이션 센터 701 West Georgia, Vancouver <김정기 기자 eddi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4-10-05 00:00:00
-
Furnace 의 Filter 교환
유원규의 '오 마이 핸디맨' E-mail: ohmyhandyman@hotmail.com Furnace 의 Filter 교환 한국식 가정 난방은 보일러(Boiler)의 물을 데워서 배관을 통하여 방바닥이나 방열기(Radiator)로 열을 전달 하지만 이곳 캐나다는 훠니스(Furnace:열풍로)에서 천연가스를 태운 열기를 열교환기(Heat Exchanger:연소가스가 섞이지 않고 열기만 뽑아내는 장치)를 거쳐 덕트(Duct:도관)을 통하여 각방에 열기를 공급하는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옥외의 공기는 청결한 이곳이지만 실내의 공기는 계속 훠니스의 열교환기를 통하여 계속 순환하고 있으므로 오염되기가 쉽습니다. 특히 실내 바닥의 카핏이 조금씩 부서져서 먼지가 되어 떠다니게 되고 이것이 실내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습니다. 자주 실내청소를 해 주시고, 난방비가 아깝더라도 최소 하루 한번 정도는 환기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길 입니다. 또 훠니스에는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가 부착되어 있는데, 동절기에 접어들어 훠니스를 가동하기 전에 새것으로 교환하여주어야 난방비도 절약되고 공기 오염도 줄일 수 있습니다. 필터교환은 훠니스 하단부와 연결되는 리턴덕트(Return Duct)에 부착되는 버티컬 필터(Vertical Filter)나 훠니스 하단부에 위치한 불로우어(Blower)를 감싸고 있는 해먹필터(Hammock Filter)를 교환하는 것인데, 버티컬 필터는 같은 규격품을 구입하여 표시되어 있는 공기흐름방향으로(덕트에서 훠니스 방향으로 공기가 흐름) 교환하는 것이고 해먹필터는 단일 규격품을 사서 사용하던 필터와 맞대어 놓고 가위로 잘라서 설치하시면 됩니다.(그림 참조조) 구입은 수퍼 스토어나 월마트, 젤러스 등에서도 가능하며, Rona나 Home Depot에는 좀더 다양한 규격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건강과 직결 되는 것이기에 가급적이면 섬유질이 조밀한 고급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밴쿠버 조선
2004-10-04 00:00:00
-
오수정화시스템(Septic System)
김동원 / 홈 인스펙터Cell:604-868-7344Email: geoinspec@hotmail.com 오수정화시스템(Septic System) 대부분의 시내 지역은 집안 내 하수관이 시하수관에 바로 연결되어 있지만 시 외곽 지역이나 시골지역은 자체 대지 내에서 생활하수 및 분뇨를 정화하는 Septic 시스템을 갖고 있다. Septic 시스템 구조 집안 화장실이나 부엌에서의 생활하수는 Sewer 파이프를 통해 Septic 탱크로 보내지고 그 중 무거운 고형물은 탱크 바닥에 가라앉아 슬러지(오니) 층을 구성하고 산소 없이 번성하는 무기성 박테리아가 이를 분해하여 가스나 작은 입자를 만들다. 이들과 함께 오일, 그리스 등은 물보다 가벼워 탱크위로 떠올라 스컴 층을 형성한다. 이 두 층 사이에 액체 오수가 존재하는데 이 것이 유출관을 따라 탱크 밖으로 보내지고 분배 박스(Distribution Box)를 거쳐 드레인 필드에 도착하여 유공관 밖으로 배출되어 흙의 자연적 여과기능과 미생물 작용에 의해 액체는 정화 되어 지하수로 스미게 되는 것이다. 드레인 필드는 트렌치를 파서 수평으로 유공 관을 묻고 주변을 골재로 채워 나무뿌리나 동물이 파헤쳐 지는 것을 보호한다. 그리고 그 위를 건초나 빌딩 페이퍼로 깔고 흙을 되메워 밖에서 보기에는 일반 대지와 다름없이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드레인 필드가 Septic 탱크보다 높으면 펌핑을 해줘야 되고 드레인 필드의 흙이 투수 율이 높거나 지하수위가 높으면 둔덕(Mound)을 만들어 지하수에 도착하기 전 충분한 여과 기능을 갖기 위함이다. Septic System 실패 드레인 필드의 실패원인은 고형물, 세제, 오일,그리스가 필드에 들어갈 때 생긴다. 일반적으로 드레인 필드의 트렌치는 잔 골재로 채워져 있는데 Septic Tank로부터의 액체가 들어와 서서히 지하로 여과 된다. 이런 여과 과정에서 고형물이나 오일, 그리스,비누등 스컴이 남게 되는데 고형물은 호기성 박테리아가 대부분 분해하지만 그리스나 오일 비누 등의 스컴은 분해가 잘 안되어 시간이 지나면 쌓여 잔자갈을 코팅하게 된다. 결국은 드레인 필드의 투과가 줄어들거나 파괴된다. 따라서 액체의 여과가 늦어지고 때로는 물이 표면으로 떠오르기도 한다. 심한 경우는 드레인이 안되기도 한다. 너무 많은 물의 사용: 흙의 흡수능력보다 많은 양의 물을 사용했을 경우 가장일반적 실패 원인이다. 잘못 디자인 됐던지 가족크기변경 혹은 물 사용 장치의 추가설치 등이 이유가 되겠고, 지붕, 드라이브 웨이, 도로로부터 지표수의 드레인필드 유입은 시스템에 더 많은 부담을 줘서 흙이 우수로 포화되어 있을 때 하수는 더 이상 갈 곳이 없어 지표면으로 떠오르던지 하수역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물리적 손상: 드레인필드 위의 차량 운전, 포장, 빌딩 건축등은 파이프의 이동이나 깨질 수가 있고 흙이 다져진다. 이런 종류의 손상은 Septic탱크의 위치파악도 어렵게 만들뿐더러 주기적 펌핑도 어렵게 만든다. 그리고 나무 뿌리도 막히게 하는 원인이 되니 나무나 관목의 시재를 삼가고 잔디를 까는 게 좋다. 잘못된 디자인과 건설: 잘못된 크기계산, 토질층이 얇고 다져진 경우 실패 가능성이 있어 시 헬스 디파트먼트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리고 분배 파이프의 수평설치 차량에 의한 드레인 필드의 다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관리부족: 부패 탱크는 매 2-3년에 한번씩 슬러지와 스컴을 펌프해 줘야 드레인 필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펌프 시 탱크 내 유입, 유출관에 설치된 배플의 손상 여부를 확인 교체해줘야 한다 이 배플은 유출에서는 스컴의 드레인 필드 유출을 방지해준다.
밴쿠버 조선
2004-10-04 00:00:00
-
-
현찰 계약 증거금
장홍순과 함께 풀어보는 부동산 Q & A 현찰 계약 증거금 Q : 주택구입시 계약 증거금을 현찰로 걸 수 있나요? A : 가능은 합니다만, 그 계약 증거금의 규모에 상관없이 잠재적인 문제점을 내포 할 수 있기 때문에 결코 바람직 하지는 않다고 봅니다. 부동산 법에 의하면 주택 거래와 관련하여 부동산 공인 중개사가 받은 돈은 그 중개사가 속한 회사의 신탁계좌에 즉각적으로 입금 시키도록 명문화 되어 있습니다. 부동산 공인 중개사가 받은 현금을 본인 계좌에 입금한 후 그 돈을 추후에 회사의 신탁계좌에 이체 시키거나 은행어음으로 회사에 입금 시키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물론 그 의도가 도난이나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 하려고 했다고 하더라도 말이지요. 왜냐하면 중개사의 개인 구좌는 신탁계좌가 아니므로 채권자의 압류로부터 안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현찰계약 증거금은 부동산 거래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임대차 관리상에서의 월세나 디파짓(Security Deposit)의 형태로는 자주 일어나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임대차 업무를 취급하는 부동산 회사는 현찰계약 증거금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에 대한 회사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그 정책 내에서는 금융기관 영업시간이 지난 후 받게 되는 현금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및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 등이 포함 되어야 합니다. 만약 주택을 구입하시는 분이 구매 의향서 작성시 현찰 계약 증거금을 걸겠다고 하고, 그 시점이 부동산 회사가 신탁계좌를 갖고 있는 금융기관의 영업시간이 아닌 경우는, 그 돈을 받는 시점을 영업이 다시 개시되는 시점으로 미루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서 부동산 중개사가 회사에 계약증거금을 바로 넣을 수겠지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현찰 계약 증거금 대신 구매하시는 분의 거래은행의 개인 수표(경우에 따라서는 은행보증수표나 은행어음이 필요함)을 이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금번기고는 ‘Real Estate Council of BC의 License Practice Manual’을 주로 참고하였음을 밝혀 둡니다. ■ 의문사항이나 자세한 내용이 알고 싶으시면 604)537-3956으로 전화 주시기 바랍니다.
밴쿠버 조선
2004-10-04 00:00:00
-
CIRCA
CIRCA"아파트 촌이 그립다면 조이스로 가자" 콘서트 개발의 콘크리트 고층 아파트 인기 콜링우드로 불리는 스카이트레인 조이스역 인근 지역은 한국의 아파트촌을 연상시키는 신흥 아파트 단지로 알려져 있다. 이미 여러채의 고층 아파트와 콘도 등이 들어선 이곳은 편리한 교통과 생활환경으로 아파트를 분양할 때 마다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학생들과 젊은 커플들이 많이 살고 있어 동네가 활력이 넘친다. 콜링우드 아파트 개발을 개발을 맡아온 콘서트 사는 초기에 렌트전용 아파트에 이어, 맥 그루거, 알랙산더 코트, 센트로, 에머랄드 파크 플레이스, 엠벌리, 밀레니오, 넥서스, 어바, 라티튜드 등을 이곳에 지었거나 건설중이고, 지금까지 모두 분양이 조기에 완료됐었다. 콜링우드의 3차 개발 지역에 들어서는 서카(Circa)는 예전에는 공장지대 였지만 공원과 마주보는 산뜻한 주거지로 새로 태어나게 된다. 튼튼하고 두꺼운 콘크리트와 유리창으로 외벽을 짓는 서카는 천연가스 온수 시스템을 통해 따뜻한 물을 공급하고, 각 세대에는 방마다 조절이 가능한 전기 난방 시스템이 갖춰지게 된다. 서카의 각 세대는 넉넉한 발코니와 도심과 산이 보이는 탁트인 전망을 갖게 되며, 스튜디오를 제외한 각 세대는 한대씩의 지하주차 공간과 세대별 창고, 자전거 보관소를 배정 받게돼 편의성이 높아졌다. 큰창을 통해 자연광을 한껏 받아들이는 내부를 살펴보면 입구와 주방, 욕실에 타일을 깔았고, 현대적 감각의 나무장식과 베네시안 미니 블라인드, 크롬 하드웨어 등이 눈에 띈다. 주방으로 들어가면 수납공간을 확대한 케비넷과 밝은 조명, 월풀의 냉장고와 레인지, 식기세척기 등으로 꾸며진 모던한 감각이 돋보이고, 욕실에는 커다란 거울과 세라믹 타일, 모던한 캐비닛, 넓은 욕조 등이 보기 좋다. 물론 콘서트사 아파트가 자랑하는 철저한 보안 시스템, 건물내의 피트니스룸, 입주자 라운지, 풀타임 매니저 등은 서카에도 기본으로 갖춰진다. 서카의 조기구매자들은 분양가의 3% 할인을 받는 우대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현재까지 아파트 총세대의 70% 가량이 팔려 주거용 혹은 투자용으로 높은 인기를 보여주고 있다. 오는 2006년 11월 입주 예정인 서카는 22층 높이에 총 205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며, 매달 관리비는 1베드룸을 기준으로 116~140달러 선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서카의 구조는 크게 스튜디오, 1베드룸, 1베드룸과 덴, 2베드룸으로 나뉘는데, 564~629sq.ft.의 1베드룸은 15만6천~20만1천달러, 659~770sq.ft. 1베드룸과 덴은 18만~24만4천달러, 828~983sq.ft. 2베드룸은 25만6천~29만9천달러의 가격을 가지고 있다. 프레젠테이션센터 1502-3588 Crowley Dr. Vancouver; 604-438-1118 <김정기 기자 eddi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4-09-30 00:00:00
-
[부동산 레이더] 8월 부동산시장 동향
8월 한달간 광역 밴쿠버 지역 부동산 시장은 ‘거래 감소, 가격 상승’ 추세가 지난 7월에 이어 계속됐다. 부동산협회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체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4.4%가 감소(2487건)했으나 평균거래가격(단독주택기준)은 51만8160달러로 지난해에 비해 평균 19.6%가 올랐다. 또, 타운하우스의 평균거래가격도(33만520달러) 지난해 동기간에 비해 19.8%, 아파트의 경우(24만3100달러)는 17.1%가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8월 한달간 주택유형별 거래동향을 보면 아파트의 경우 총 1063건의 거래가 성사돼 지난해 보다 28% 감소했으나 웨스트밴쿠버(30.3%), 포트 무디(24.4%), 밴쿠버 이스트(23.2%)지역의 가격이 크게 올랐다. 거래량이 27% 감소한 타운하우스(379건)는 스콰미시(28.6%), 버나비(27.2%), 포트 코퀴틀람(24.0%) 등에서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단독주택(1045건)은 거래량이 19% 감소했고 웨스트 밴쿠버(29.4%), 선사인코스트(26.2%), 메이플리지(25.9%), 델타(23.6%), 뉴웨스트민스터(22.1%) 등의 주택가격이 1년 전에 비해 많이 뛰었다. 한편, 올 여름 부동산 시장의 거래가 줄어 든 현상의 해석을 놓고 전문가들의 견해가 ‘일시적 조정’과 ‘하락세 반전 신호’로 풀이하는 등 양분되고 있다. 일시적 조정으로 보는 것은 거래량 감소를 지난 해 부동산 시장이 워낙 활황세를 보였기 때문에서 비롯된 상대적인 문제로 해석한다. 반면, 본격적인 하락세 반전의 신호로 해석하는 쪽에서는 영국의 경우를 비슷한 전례로 거론하고 중앙은행의 금리인상과 부동산 가격하락의 상관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표-1] 주요지역별 주택가격(단독주택) 광역밴쿠버 평균 51만8160달러(19.6%) 버나비 47만7990달러(16.2%) 코퀴틀람 40만8660달러(11.3%) 델타 46만6030달러(23.6%) 메이플리지 35만4000달러(25.9%) 뉴웨스트민스터 37만6190달러(22.1%) 노스밴쿠버 58만2790달러(16.5%) 포트무디 47만9080달러(12.2%) 포트코퀴틀람 35만6980달러(11.9%) 리치몬드 48만6190달러(14.3%) 선샤인코스트 29만7230달러(26.2%) 밴쿠버웨스트 84만2530달러(21.9%) 웨스트밴쿠버 92만1590달러(29.4%) 자료 : MLS, 괄호안은 1년전대비 상승률
밴쿠버 조선
2004-09-30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