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의 불균형 개발 때문에 밴쿠버 경제가 성장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로빈 실베스터(Silverster · 사진) 포트메트로밴쿠버(밴쿠버항만공사) 사장은 밴쿠버 상공회의소 연설을 통해 주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턱없이 부족한 밴쿠버 내 산업용지와 관련해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베스터 사장은 최악에는 밴쿠버는 국제경제와 유대관계를 잃고 지역경제에만 의존하는 일종의 고립지역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산업이 성장하지 않고서는 대규모 고용이 발생할 수 없고, 그 결과로 경제성장이 억제돼 거주지 기능만 남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베스터 사장은 “요즘 사람들은 플로리다주의 많은 지역사회를 은퇴자 거주지로 간주하기 시작했는데, 밴쿠버는 그런 변화를 바라지 않지만, 그렇게될 가능성이 보인다”고 지적했다.

메트로 밴쿠버의 산업용지는 2만8246에이커로 약 3/4가량은 개발이 완료됐다. 지역 내 산업용지에서 경제기반을 두고 활동하는 제조업, 운송업, 창고업, 건축업 종사자는 현재23만5000명이다.

문제는 산업용지로 분류돼 있지만 개발이 이뤄지지 않은 약 6634에이커다. 밥 로리(Laurie) 부동산 중개사는 유휴 산업용지가 지도 상 산업용지로 묶여는 있지만, 토지 용도가 불명확하거나 전력이나 상·하수도 등 기초시설 연결이 안 돼 있거나, 구획정리 작업조차 안 돼 있어 이용 가능성이 의심스러운 곳도 있다고 지적했다.

로리 중개사는 유휴 산업용지가 정리되지 않아 BC주정부나 밴쿠버항이 추진하는 태평양 관문(gateway) 정책에도 제동이 걸리고 있다고 밝혔다. 효과적인 물류처리 시설이 들어설 토지가 필요한데, 이런 대규모 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땅은 항구에서 멀리 떨어진 써리나 랭리 또는 메이플리지 북쪽에나 있다.  로리 중개사는 “사우스 써리에 물류처리 시설을 개발하자고 해도 땅은 있지만, 수상으로 연결이 되지 않는다. 기반 시설이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개발업자 에릭 트리그(Trygg)씨는 프레이저 밸리 지역 내 산업용지는 일반의 관념보다 제약이 많다고 밝혔다. 트리그씨는 “캠벨 하이츠(Campbell Heights)를 제외하면 산업용지로 쓸 수 있는 토지는 거의 남지 않았다”고 말했다.

커시맨 앤 웨이크필드사 빌 홉스(Hobbs) 부사장 역시 이 말에 동의했다. 홉스 부사장은 “구획정리와 기초시설 연결이 된 5에이커나 10에이커 산업용지를 프레이저 밸리에서 찾는다면 한 손으로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상업용 부동산 전문 중개회사 에이비슨 영사가 지난 3분기 보고서에서 지적한 메트로밴쿠버의 “총체적인 산업용지 공급 부족”을 재확인한 것이다.



<▲ 사라져가는 산업 용지... 메트로 밴쿠버내 산업용지는 최근 몇 년간 아파트촌과 사무실로 변화했다. 과거 산업지역이었던 펄스 크릭 남쪽은 밴쿠버 올림픽을 치르면서 선수촌으로 탈바꿈해 토지 용도의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사진=Dominic Schaefer/BIV>


이와 같은 용지부족은 산업용지 가격을 끌어 올려 밴쿠버를 ‘산업하기 어려운 곳’으로 만들고 있다.

2008년 미화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밴쿠버의 산업용지는 1에이커에 50만달러에서 120만달러 선이다. 앨버타주 캘거리는 미화 35만달러에서 100만달러선으로 밴쿠버보다 저렴한 편이다. 시애틀과 비교하면 밴쿠버의 불리함은 확연히 드러난다. 시애틀 산업용지는 1에이커에 33만달러에서 48만달러 선이다. 홉스 부사장은 “창고나 공유지를 빌릴 때 비용이 더 많이 든다면, 비유적으로 말해 국경에서 10km 떨어진 저렴한 땅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태평양관문 정책 추진 등을 위해 산업용지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현재 메트로밴쿠버 전역에 얼마나 많은 산업용지가 남아 있는지 메트로 밴쿠버 행정청의 지역개발부서도 모르고 있다. 크리스티나 드마르코(DeMarco) 지역개발국장은 시별로 가용 산업용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향후 2개월내 현황을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메트로밴쿠버는 지방자치단체가 새로 성장계획을 수립할 때 산업용지의 용도변경을 금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실베스터 사장은 농지보호법처럼 좀 더 강력한 산업용지 보호 규정을 수립해야 하며 일자리를 창출할 토지 마련을 위한 관계자들의 규모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자료원=Business in Vancouver (BIV)
밴쿠버 조선일보는 BIV와 제휴해 기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