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이플 리지 다운타운 주거단지 개발
광역 밴쿠버 지역(GVRD)에 속한 8대 타운 센터 중의 하나인 메이플 리지(Maple Ridge) 다운타운의 콘도 시장은 인근 지역인 핏 메도우(Pitt Meadows)와 더불어 1년 전에 비해 29.1%의 가격상승이 있었다. 인구 약 7만 명의 소도시 임에도 광역 밴쿠버에서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 중의 하나인 메이플 리지는 최근 몇 년간 인구의 동진화와 부동산 활황세를 타고 새로운 주택 건설과 부동산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현재 메이플 리지 다운타운 지역 내 용도변경 승인된 것은 약 1000가구이며 개발 계획안에 추가로 1500가구가 신청된 상태이다. 개발이 마무리 되면 총 5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주거 단지가 곳곳에 들어서게 된다. 총 공사 비용 6억 달러가 투입되는 골든 이어스 다리가 오는 2010년에 완공 되면 메이플 리지와 써리·랭리를 이어 줌으로 해서 기존의 로히드 하이웨이와 웨스트 코스트 익스프레스와 더불어 이 지역의 교통여건을 한층 더 편리하게 할 전망이다. 메이플 리지 다운타운 주거단지 개발 계획은 주상복합 건물이 비교적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노령인구를 위한 단독주택 및 타운하우스도 포함되어 있다. 노인전용 아파트는 여러 동 개발되는 큰 프로젝트이며 콘도는 최고 16층 높이로 이루어질 것이다. 풍부한 녹지, 골든 이어스 공원, 대형 소매상가 등 신규 정착지로 각광 받고 있는 메이플 리지는 2021년의 다운타운 인구수가 2만1천명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료출처: www.mapleridge.org
밴쿠버 조선
2006-02-23 00:00:00
-
학군 좋기로 유명한 전통의 주거지-밴쿠버 웨스트
일반적으로 밴쿠버시 알부터스(Arbutus)가를 기점으로 서쪽으로 UBC 이전까지를 밴쿠버 웨스트로 구분한다. 5층 이상의 건물을 찾기가 매우 힘든 밴쿠버 웨스트 지역은 대부분 단독주택 위주로 주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주를 원하는 사람은 많은데 새로 건물을 지을 공간은 없어 광역 밴쿠버 지역 중 단독주택의 스퀘어피트당 평균 가격이 가장 높은 곳으로 꼽히고 있다. 이 지역은 오래 전부터 이상적인 주거지로 각광 받던 곳으로, 주로 전문직에 종사하는 백인들이 많이 거주 했던 곳인데, 좋은 학군과 안정된 주변환경에 반한 중국계 및 한인들이 몰려들어 현재는 아시아계의 비중이 40%에 달한다고 한다. 특히 한국에서 조기 유학을 보내는 아이의 엄마들이 이곳을 밴쿠버 최고의 학군으로 인식해 이지역 초등학교와 세컨더리 등에는 최근 몇 년간 한국 학생이 급증했으며, 한국식 선후배 문화가 문제가 될 정도로 한인 학생들이 모여있는 곳도 있다. 지은지 평균 70~100년된 오래된 단독주택들이 있는 주택가에는 가로수의 수령이 수백년 이상 되는 곳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여름에는 시원한 그늘을 만들고 가을에는 알록달록한 단풍으로 뛰어난 풍광을 연출하고 있다. 또한 주택가 곳곳에는 BC주 최고의 명성을 자랑하는 사립학교들과 회원제 스포츠 클럽, 푸른 잔디로 덮인 공원 등이 있으며, 잘 정돈되고 조용한 거리는 치안상태가 좋아 사람들이 마음 놓고 걸어 다닌다. 밴쿠버 웨스트에는 BC주 최대의 대학 UBC가 있고 매기(Magee), 포인트 그레이(Point Grey), 프린스 오브 웨일즈(Prince of Wales), 로드 빙(Load Byng)등의 공립 세컨더리와 남학교인 세이트 조지(St. George's)와 밴쿠버 컬리지(Vancouver College), 여학교인 요크 하우스(York House), 리틀 플라워(Little Flowers), 크로프턴 하우스(Crofton House) 등 명문 사립 학교가 밀집해 있다. 이들 사립학교들은 대부분 매년 발표되는 BC주 학력 평가에서 최상위권에 들어, 자녀들의 학교를 주거지 선택의 최우선으로 꼽는 한인 학부모들에게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밴쿠버 웨스트의 주민들은 던바, 브로드웨이, 알마, 알부터스, 41번가 등에 있는 다양한 상점들과 마켓을 이용하고 있으며, 케리스데일(Kerrisdale)에는 패션 부띠끄를 비롯한 고급 가게들이 모여있다. 교통 및 교육여건 주요 간선도로는 브로드웨이, 킹 에드워드, 41번가, 4번가, 마린 드라이브 등이며 교통은 원할 한 편이나 코퀴틀람이나 써리 등으로 이동하기는 그리 쉽지 않다. 교육여건은 BC주 최고로 꼽힐 정도로 우수한 학교들이 밀집해 있으며, 아이들의 경쟁과 부모들의 교육열도 타지역 보다 높다. 쇼핑 및 편의시설 간선 도로 주변에 여러 가게가 있으며, 주민들은 커리스데일 쇼핑가의 아기자기한 상점들과 인근 오크리지 쇼핑몰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공원, 커뮤니티 센터, 도서관 등이 잘 갖춰져 있고 각종 금융기관과 각국의 레스토랑도 빠지지 않는다. 부동산 가격동향 이 지역 집은 다른 곳에 비해 물량도 적고, 가격도 비싼 편이다. 가장 저렴한 아파트라도 30만달러대이고, 웬만한 주택들은 100만 달러를 훌쩍 넘긴다. 콘도는 2베드룸을 기준으로 40~60만달러이며, 타운하우스는 방이 3개인 3층짜리 새집의 경우 80만~100만달러에 이른다. 아파트 렌트비용도 다른 지역보다 비싸, 1 베드룸이 1천2백~1천600달러 선이고, 2베드룸은 1천5백~ 2천달러 선이다. /김정기 기자 eddi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6-02-23 00:00:00
-
잔디관리와 모스제거
Q : 안녕하십니까? 2004년 봄 잔디관리에 관해 쓰신 기사를 읽다가 문의사항이 생각나서 몇 자 적습니다. 저희 잔디밭은 3년 째 접어듭니다. Power Raking & Air Raking을 해야 하는 지요? 유선생께서 그 일을 해 주시는지, 비용은 얼마나 드는 지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작년 봄에 Moss Out(액체-스프레이용)이라는 상품으로 이끼제거를 시도해 봤는데 그다지 효과를 보지 못했습니다. 들으니, 조그만 알갱이로 된 제품이 있다는데, 그걸 쓰면 이끼만 까맣게 타서 없어진다고 하더군요. 상품명을 좀 알려주실 수 있으신지요? A : 안녕하세요. 3년째 접어 들었다는 말은 3년전 지은 새집의 잔디라고 여겨집니다. Power Raking과 Aeration 은 주기가 정해진 작업이 아니고 잔디 상태에 따라서 행할 일입니다. 작년에는 초여름까지 비가 잦았고 여름 더위가 극심하여 Moss와 Thatch가 많이 발생한 정원이 대부분이어서 금년 봄(4-5월) 맑은 날이 계속될 때 Power Raking을 권합니다. 또 3년정도된 잔디라도 Moss발생을 억제하려면 매년 Lime을 뿌려 주어야 합니다. 잔디 농장에서 재배한 Sod(잔디를 재배하여 뿌리와 흙이 붙은채로 말아서 파는 제품)는 빨리 자랄수 있도록 비료를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에 산성토양이므로 Moss가 자라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Moss 제거제는 고형제보다는 액체로 된 제품이 살포하기 손쉬우며 살포직전에 충분히 흔들어서 잔디가 젖을 정도로 뿌려주면 잘 듣습니다. 굳이 고형제를 원하시면 Garden Center에서 Moss-Out, Moss-Kil, Rid-Moss라고 포장지에 써있는 제품이 여기에 해당 됩니다. (직원에게 Granule Type Moss Controller를 주문하셔도 되고요) 포장에 쓰인데로 적당량을 뿌려야하며 과하면 잔디가 말라 죽을 수 있고 옷에 묻으면 세탁후에 녹물 자욱이 남게되므로 헌작업복을 준비하십시오. 모든 Moss 제거제는 계절에 상관없이 사용하실수 있으나 살포한 후 이틀 정도 물이 닿지 않도록 맑은 날을 택하셔야 합니다. Aeration은 수분을 땅속 깊숙이 침투하도록 하여 잔디뿌리가 수분을 쫓아서 깊게 퍼지도록하여 가뭄에 잘 견디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데, 실제로 밴쿠버의 기후는 반년정도가 우기이기때문에 잔디는 물론 나무조차도 뿌리를 깊게 뻗지 않고 지표면을 따라 퍼져가며 자라기 때문에 별 효과가 없는 듯 합니다. 잔디는 가구나 가전제품과 달라서 자주 깎아주고 물을 주지 않으면 쉽게 망가집니다. 잔디를 방치하면 얼마나 커질까요? 잔디는 자주 깎아서 짧게 유지하면 촘촘히 자라지만 방치하면 듬성듬성 자라면서 허리 높이까지 클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주변에 허리높이 까지 자란 풀이 바로 잔디 입니다.
밴쿠버 조선
2006-02-20 00:00:00
-
-
변동금리 vs. 고정금리
‘3 불문(不問)’을 들어 보셨습니까? 금액불문, 금리불문, 기간불문 즉, 액수가 얼마든, 이자율이 얼마든, 만기가 언제까지든 묻지 않고 무조건 대출을 받는다는 뜻입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한국에서 기업의 자금사정이 어려울 때면 자주 듣던 말입니다. 대출을 통해 더 많은 수익을 올리겠다는 것이 아닙니다. 아무리 높은 금리로라도 자금융통이 안 되면 곧 부도가 나는 절박한 상황이었던 것입니다. 그 ‘3불문’이 캐나다에도 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금리가 20%가 넘었던 시절은 있었습니다. 오일쇼크가 있었던 1981년, 은행의 기준금리인 프라임금리가 22.75%를 기록했고 1990년에는 14.5%까지도 오른 적이 있습니다. 최근 들어 금리가 여러번 올랐다고는 하지만 5.25%인 현재의 금리는 과거 평균 6~7%와 비교하면 여전히 싸다고 하겠습니다. 그렇게 금리가 오르락 내리락 하다보니 대출을 새로 받거나 연장할 때마다 고민이 생깁니다. 변동금리로 할지 고정금리로 할지, 고정금리라면 5년정도 장기로 묶어 두는 것이 좋을지 단기로 연장해 가는 것이 좋을지 하는 고민입니다. 캐나다 모기지 현황에 대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고정금리 사용비율이 변동금리에 비해 세배 이상 많고, 무려 62%가 5년 고정금리를 선택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선호되고 있는 것처럼 변동보다 고정이 좋고 단기보다 장기가 좋을까요? 흥미롭게도 분석결과는 정반대였습니다. 즉, 지난 과거를 분석해보면 고정보다는 변동이, 장기보다는 단기가 더 유리했다는 것입니다. 금리가 내려갈 때는 당연히 변동금리가 유리하겠지만 금리가 올라 갈 때는 고정금리가 유리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1993년부터 현재까지의 금리를 비교해 보면 거의 언제나 5년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가 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차이가 보통 1.5~2%이기 때문에 금리할인을 많이 받는다 하더라도 변동금리가 명백히 유리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인지 변동금리 선호비율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2003년도에는 대출고객의 19%가 변동금리를 선택했지만 2005년도 상반기에는 그 비율이 38%로 급증했습니다. 한편, 고정금리를 선택한다면 단기든 장기든 금리 고정기간을 결정해야 합니다. 앞에서 본 결과는 단기가 유리했다는 것입니다. 1년 고정금리는 5년 고정금리에 비해 보통 1~1.5%정도 낮았다고 합니다. 사실 은행은 단기보다 장기로 고정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장기가 그동안 더 이익이었다는 측면도 있을테고 추가비용 없이 장기간 고객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금융산업이 성숙되어 있는 선진국일수록 은행 간의 고객 유치경쟁이 치열합니다. 새로운 수요가 창출되기 보다는 은행 간에 고객이동이 많다 보니 가능하면 장기로 묶어 두고 싶은 것입니다. 그렇다면 대출을 새로 받거나 연장할 때, 고민할 것도 없이 장기보다는 단기를, 고정보다는 변동금리를 선택하면 될까요? 과거 통계가 미래에도 적용 된다면 간단하겠지만 미래는 늘 불확실하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변동금리는 급격한 금리상승에 대한 위험부담이 있고 단기 역시 장기에 비해 금리변동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결국 정답이 있다기 보다는 고객의 취향과 상황에 따라 최종 결정 될 문제라 하겠습니다. 참고로, TD은행의 금년도 금리전망은 상반기에 조금 더 올랐다가 연말에는 다시 약간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현재 1년과 5년의 모기지 금리 차이가 0.5%에 불과합니다. 이 수치는 과거 어느때보다 적은 것입니다. 이것은 금리가 단기간 상승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별 변동이 없거나 오히려 하락할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통계자료(*): Financial Industry Research Monitor(FIRM) survey, March and June 2005
밴쿠버 조선
2006-02-20 00:00:00
-
써리 클로버데일 단독주택
프레이저 밸리지역의 주택가격이 큰폭으로 뛰고 있다. 최근 매물등록 6일만에 거래된 써리 클로버데일 지역의 한 주택(사진)는 총면적 3799평방피트에 방 5, 욕실 4, 가스 파이어 2개를 갖췄다. 이 주택의 평방피트당 가격은 거래가 기준 약 239달러(지하면적 제외). 프레이저밸리 부동산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써리 지역 단독주택의 평균거래가격은(2006년 1월기준) 44만4771달러로 1년전에 비해 26.5% 상승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거래가격 추이] 판매희망가격 : 58만9000달러(2005년 2월 6일) 거래체결가격 : 59만0000달러(2006년 2월 12일) 공시가격(2006) : 46만6000달러 (자료 제공 : 하나부동산, MLS)
밴쿠버 조선
2006-02-20 00:00:00
-
캐나다의 증여세
캐나다에는 증여세가 없어 투자용으로 산 콘도를 자녀에게 물려주려고 하는 분들은 자세히 보시기 바랍니다. 캐나다에는 증여세는 없지만 이에 상응하는 “특별”양도세 세무조항이 있습니다. 캐나다 세법상 특수 관계자간의 자산 양도에 대한 조항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관계가 있는 개인과의 거래에 있어서 특별 조항이 적용됩니다. 1) 부모 와 자식 관계2) 형제, 자매 관계3) 부부지간 (동성애 포함)4) 위 1)과 2)에 명시된 사람과 혼인 관계5) 양자인 경우 위에 명시된 개인간의 부동산 거래에 있어서 만일 거래가가 시장가격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음과 같은 규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들에게 콘도를 물려주려고 하는 아버지의 예일타운 콘도의 취득원가 25만달러(2년 전 구입) 현재 시가 35만달러인 경우, 양도가 > 시세인 경우; 사는 사람의 취득원가는 시세로 책정 이 경우는 아버지가 아들한테 현 싯가 보다 높은 40만달러에 양도하는 경우 아버지의 양도차액은 40만달러 - 25만달러 = 15만달러가 되지만 아들의 취득원가는 구매가격인 40만달러가 아닌 35만달러로 책정됩니다. 양도가 < 시세인 경우; 사는 사람의 취득원가는 취득금액 아버지가 아들한테 부동산을 30만달러에 양도하는 경우 아버지의 양도차액은 35만달러 - 25만달러 = 10만달러가 됩니다. 결국 아버지는 현재 시가로 양도세를 계산하게 되고 아들은 취득원가는 취득금액이 됩니다. 양도가 = 0 인 경우; 사는 사람의 취득원가는 취득금액 아버지는 양도차액은 35만달러 - 25만달러 = 10만달러가 되고 아들의 취득원가는 35만달러가 됩니다. 결국 현재 시가로 계산 됩니다. 다만 예외 조항으로 부부지간에 있어서는 서로간의 자산이동은 취득원가로 양도되므로 양도차액이 일어나지 않으며 부동산이 타인에게 양도되는 시점에 양도차액이 계산됩니다. 결론적으로, 자산가치가 상승한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양도세를 피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이를 면해보자는 작전으로 매매가를 조작(?)하는 경우 이중과세 상황을 만드는 경우가 될 수 있으므로 직접 개발한 기발한 세금절세 아이디어는 필히 전문 회계사 및 변호사와 상의 하셔서 일장춘몽이 되지 않도록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밴쿠버 조선
2006-02-20 00:00:00
-
Old House 창호 업그레이드 하기
올드 하우스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 홑겹의 유리창을 교체에 필요한 창호의 기본적 이해와 고 성능 창문의 특성 파악으로 창문 사양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개폐방법에 따른 창문의 종류 창문 에너지 성능 향상 창문의 열전달은 복사, 전도, 대류로 이루어 직 있으며 이에 대한 각 제어 방법으로 에너지 성능 개선을 개선하고 있다. 먼저 유리시공(Glazing)은 다음 3가지 방법으로 성능을 향상시켜 왔다. 첫째는 유리의 화학적 특성을 바꿔 엷은 색조를 띠게 하는 방법과, 둘째로 유리에 코팅을 해주는 방법으로서 반사 코팅 또는 최근의 Low-emittance 코팅 방법은 냉난방 시즌에 에너지 성능을 개선하였다. 세 번째 방법은 유리의 2,3중 시공으로 단열 및 차음 성능 증가와 사이 공간을 열 전도율이 낮은 가스를 주입하고 이런 복층 유리의 마구리를 절연시키는 재질의 사용이다. -Low-emittance (Low-E) 코팅 아주 미세하고 우리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얇은 금속 입자 막을 창문이나 천창 유리면에 코팅하여 복사 열 전도를 줄여 에너지 성능을 향상 시킨다. 일반적으로 Low-E 코팅은 태양광선은 투과시키고 내부 복사 에너지의 긴 적외선은 반사시켜 겨울철 태양열 취득을 최대화 시키고 밤의 열 손실을 줄여 태양 열 조절이 가능하고 여름에는 외부의 복사열 에너지를 반사한다. 특별히 서향에 면한 창문은 이를 고려해볼 수 있다. -Gas Fill창문 제작 기술의 큰 진전으로서 복층 유리 가운데 불활성 가스를 채우는 방법이다. 불활성이라면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안전한 가스로서 아르곤(Argon)과 크립톤(Crypton)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아르곤이 가격이 저렴하여 대중화 되어 있다. 아르곤 가스의 주입은 아르곤이 공기보다 낮은 열 전 도성 때문에 전도 열 손실을 줄일 수가 있으며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복층 공간의 가스 움직임을 누를 수가 있어 대류 열 손실을 줄인다. 크립톤은 아르곤보다 약간 성능이 좋기에 복층 간격의 폭을 줄일 수가 있으며 다층 유리시스템을 가능케 한다. -저 전도성SpacerLow-E 코팅은 복사 열손실을 줄이며 대류로 인한 열 손실은 Gas Fill로 줄일 수가 있다. 전도로 인한 열손실은 창문 주위의 스페이서는 열손실에 취약한 부위로서 대부분의 스페이서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열전도율이 높다. 에너지 성능 향상을 위해서 절연이 필요한 곳으로서 시중에는 새로운 열전도율이 작은 다양한 재질이 사용되고 있다. -창문 후레임 재질 개선창문 후레임은 전체 창문 구조의 삼분의 일을 차지 하면서 열 손실이 많은 곳 중의 하나로서 고성능 유리는 대부분의 전통적 창문 후레임보다 단열 성능이 높아 제조업체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대체재를 개발해 왔으며 서로 다른 재질을 보완 연결하여 강도를 높이기도 하였다. 가장 에너지 성능이 좋은 창문으로는 화이버그라스 후레임으로 내부에 인슈레이션 Foam으로 채우고 있다. 강한 재질은 가는 후레임과 샤쉬를 가능케 하여 더 큰 유리 면적으로 보다 많은 열 취득 (ER number) 을 할 수가 있다. 이를 Low profile 후레임이라 불린다. 창문 교체 시공
밴쿠버 조선
2006-02-20 00:00:00
-
-
가족을 위한 주거지 플릿우드의 신 타운홈-캐슬 파인스
광역밴쿠버 중에서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써리는 신규 이민자들과 첫번째 집을 장만하려는 이들이 계속 몰리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플릿우드(Fleetwood) 지역은 지은지 10년 내외의 집들로 전입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4~5년 전부터 신흥 주거지역으로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져 많은 타운하우스가 세워졌고,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이 살기 적합하도록 도서관, 학교, 레크레이션 센터, 운동장, 공원 등 생활 편의시설과 사회기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이곳 캐슬 파인스(Castle Pines)는 2~3 베드룸의 가족형 타운하우스로 신규 이민자나 처음 집을 장만하려는 3~5인 가족들에게 플릿우드 남단 지역이 제공하는 편리하면서도 쾌적한 생활환경을 선사한다. 캐슬 파인스는 많은 주택 구매자들이 재정 상황에 맞는 가격을 찾기 힘든 요즘 대안으로 떠오를 정도로 가격에 메리트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3베드룸을 갖춘 1508sq.ft. 3층 가족용 타운하우스가 가전기기, 쓰레기 처리기 등을 포함해 26~28만달러, 1332sq.ft.의 2베드룸은 23만달러 선으로 30만달러 이하의 신규 타운하우스를 찾기 힘든 요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캐슬 파인스의 실내를 살펴보면, 헤리티지 스타일의 조명과 세라믹 타일로 마무리된 벽난로,자연광을 최대한 받아들이는 창문 등이 눈에 뜨인다. 또한 주방에는 석재 조리대와 스테인레스 스틸로 장식된 캐비닛, 콜러 수도시설, 디럭스 냉장고와 식기세척기, 오븐, 유럽스타일의 조명 등이 갖춰진다. 또, 메인 침실의 욕실에는 넓은 수납공간과 샤워부츠가 설치됐으며 콜러사의 크롬 수도꼭지가 반짝 반짝 빛을 낸다. 외벽과 지붕 등은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한 최신 기술을 통해 철저한 방수와 단열 능력을 갖추었고, 철저한 보증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캐슬 파인스의 주민들은 인근 플릿우드 타운 스퀘어나 파크 빌리지 쇼핑센터를 이용하며, 월넛 로드, 윌리엄 와트슨, 코스트 메리디언, 우드랜드 파크, 서팬틴 하이츠 등의 여러 초등학교와 플릿우드 파크(Fleetwood Park) 세컨더리 등이 주변에 있다. 특히 캐슬 파인스의 인근에는 골프광의 최고 입지조건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써리 골프장, 길포드 컨추리 클럽, 노스뷰 골프장, 이글퀘스트 골프 코요테 크릭 등이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인기높은 코스트 메리디안 공원, 플릿우드 공원 등이 여가시간을 즐겁게 만들어 준다. 그 중에서도 플릿우드 공원은 90년대말 대대적인 시설 업그레이드를 통해 워터파크, 농구 및 하키코트, 다양한 기구를 갖춘 놀이터, 최신식 화장실 등을 갖추고 주민들의 쉼터로 각광 받고 있다. 교통은 프레이저 하이웨이를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킹조지 하이웨이와 페트룰루다리, 남쪽으로는 랭리와 연결되며 1번 하이웨이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근 킹조지 스카이트레인 역을 통해 다운타운까지 35분 정도에 도달 할 수도 있다. 캐슬 파인스의 1332sq.ft. 2베드룸은 23만달러, 1456~1474sq.ft.의 3베드룸은 26만달러, 1525sq.ft.의 3베드룸은 27만달러 선에서 가격이 시작된다. 주소: 16588 Fraser Highway Surrey, (604)575-8628 /김정기 기자 eddi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6-02-20 00:00:00
-
센트럴 론스데일 ‘그린 빌딩’
노스 밴쿠버의 콘도 시장은 지난 3년 간 무려 69% 포인트의 가격 상승을 보였다. 특히 노른자위 라고 불리는 센트럴 론스데일은 고지대에 위치, 뛰어난 조망권과 편리한 교통, 도보거리 내 쇼핑 및 갖가지 편의시설 등으로 인해 투자·주거용으로의 가치가 더 솟고 있다. 그 가치를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해 주기 위해선 건물이 환경 친화적으로 설계 되어야 하는데 론스데일과 16가의 교차점 부근에 바로 이 친환경 주거용 빌딩이 있다. 1년 전에 완공된 고층 콘도 ‘실바(Silva)’는 주상복합 건물으로서 웨스트 코스트 프로젝트와 말콘 컨스트럭션 사에서 공동 개발했다. 리드(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가 보증되는 이 콘도는 그린 빌딩 시스템으로 건축되어 노스 밴쿠버는 물론이고 캐나다에서 유일한 주거용 그린 빌딩인 셈이다. 비용절감, 높은 에너지 효율성으로 건축 기간 동안뿐만 아니라 입주한 후에도 혜택이 뚜렷하게 나타나 주민들이 매우 만족해 한다. 관계자에 따르면 그린 빌딩으로 설계 되어 물 소비량이 광역 밴쿠버 지역(GVRD) 대비 60% 절감 된다고 한다. 실바 빌딩의 에너지 소비량은 표준치보다 14% 포인트 적게 쓰여 액수로 환산하면 연간 약 1만7천 달러를 절약하게 된다. 특별히 아스팔트 도로가 대부분인 도시 지역에서는 생활하수나 공업용 폐수로부터 기인하여 수반되는 오수(汚水)가 삼림 지역에 비해 월등히 많아 자연적 우수(雨水)와 더불어 배수가 불량 상태인 경우 전염병의 원인이 되는 등 생활환경에 각종 장애를 일으킨다. 이러한 도시 하천 관리(Stormwater Management)문제를 감소하게 위해 건물 상가 부분의 지붕에 해당하는 포디움(podium) 위를 그린 루프(roof)로 제작하였고 하수 배출량의 27%까지 감소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건축 기간 동안에도 건축 폐기물의 80% 이상을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는 등 개발사가 심혈을 기울인 이 주상복합 건물은 리드 즉 그린 빌딩 보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미국에서 시작된 리드는 주로 상업용 건물에만 시도되어 오다 캐나다에서 주거용 건물에 유일하게 시도되어 성공한 케이스인 셈이다. 최근 50만6800 달러에 거래된 매물은 9층에 위치한 1028평방피트의 2 베드룸 이다. 자료출처: www.cnv.org; www.usgbc.org
밴쿠버 조선
2006-02-16 00:00:00
-
매트리스 5년 이상 쓴다구요?
“인생의 1/3을 보내는 침대 매트리스 수명은 5년~7년 정도입니다.” 베터 슬립 카운슬(BSC)은 지난 해 설문조사 결과 미국인 1/4은 침대 매트리스를 권장치 이상으로 오래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BSC 낸시 샤크 대표는 “상당수 사람들이 매트리스의 품질에 대해서 구입시에만 신경을 쓰고 그 이후 관리에 대해서는 등한시 하고 있다”며 “매트리스의 상태는 수면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5~7년 이상된 메트리스는 안락한 수면을 보장해주지 못하며, 굴곡이 심하게 변형된 매트리스는 체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매트리스 수명은 내부에 금속 스프링이 들어간 이너스프링(Innerspring)형이 대체적으로 가장 길어 5~7년을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여러 겹의 천이나 폴리우레탄으로 속을 채운 폼(Foam)형이나 에어베드(Airbeds) 수명은 이너스프링보다 짧은 3~5년 가량이다. 소파와 침대 겸용으로 많이 보급된 푸통(Futons)은 폼형 매트리스를 많이 사용한다. 샤크 대표는 “매트리스 길들이기를 위해서 1~2주마다 한번씩 방향을 뒤집어 깔아주지만(Rotation) 이는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다”며 “매트리스 표면을 쓰다듬어 점검했을 때 특정 스프링(코일)이 돌출해 있거나 들어간 상태로 재생되지 못한다면 매트리스를 바꿀 시기가 됐다는 증거다”라고 설명했다. 일부 매트리스는 브랜드에 따라 워런티를 제공하는 만큼 매장으로 달려가기 전에 확인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청결한 상태 유지도 편안한 수면과 건강을 위해 필요하다. 매트리스 청소전문 ‘매트리스 닥터’에 따르면 매트리스 내부에는 미세한 먼지가 계속 쌓인다. 이 먼지 1그램에는 알러지나 호흡기장애 원인이 될 수 있는 먼지진드기(dust mites)가 최대 2500마리 가량 서식할 수 있다. 캐나다 평균치는 매트리스당 약 200만마리 먼지진드기가 서식하고 있다. 한편 몸에서 하루 1.5그램 정도 떨어지는 미세한 피부조각, 유아나 애완동물 소변으로 인한 오염, 곰팡이, 박테리아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매트리스 닥터사는 “3~4개월마다 한번씩 매트리스 청소가 필요하다”고 권했다. 알러지 전문의 닐 로드리 박사는 “6~8주마다 한번씩 매트리스를 세워놓고 진공청소기로 먼지를 빨아들일 것”을 권했다. 이 경우 흡입기 앞부분은 브러시를 떼낸 상태에서 해야 한다. 만약 장기간 청소를 하지 않았다면 맑은 날 실외에서 매트리스를 두드려 털어낸 후 청소가 필요하다. 로드리 박사는 “이 경우 대부분 사람들이 마스크를 하지 않지만 알러지나 호흡기 질환을 앓고 싶지 않다면 마스크 착용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침대에 오줌이나 기타 신체 분비물이 묻었을 경우 즉시 마른 수건으로 닦아내고 효소 클리너(enzymatic cleaner)를 이용해 지워질 때까지 닦아내야 한다. 냄새나 습기를 없애는 방법으로는 베이킹 소다(baking soda)를 물기나 액체가 닿은 부분에 뿌린 후 하룻밤 정도 습기를 흡수하게 내버려 두고 다음날 진공청소기로 흡입하면 된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6-02-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