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실률 3.5%, 지난해 대비 임대료 2% 상승BC주 임대주택 임대료는 침실 2개형 아파트는 1069달러, 1개형은 918달러로 집계됐다.
캐나다주택보험공사(CMHC)는 올해 4월을 기준으로 BC주 주택 임대시장을 분석한 결과, 공실률은 3.5%로 지난해와 별다른 변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공사는 BC주내 가장 큰 주택임대 시장인 메트로밴쿠버와 빅토리아 일대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캘로나와 애보츠포드-미션 일대 공실률은 지난해보다 낮아지기는 했지만, 각각 4.8%와 4.7%로 주 평균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원인은 거주자들이 외곽 지역보다는 도심 지역 거주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밴쿠버 침실 3개형 이상 임대 인기BC주 전체 임대용 주택의 2/3가 있는 밴쿠버의 임대 수요는 꾸준한 상태다.
공사는 "외국에서 이민으로 유입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주택 소유비용과 임대비용의 지속적인 차이가 혼합돼 지역 내 임대 주택 공실률을 낮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에 임대 수요를 낮추는 요인도 있다. 공사는 "동시에 임대주택에 많이 거주하는 젊은 층의 실업률 증가는 공실률 상승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실직하거나 일을 찾지 못한 젊은 층이 부모와 함께 사는 상황을 지적한 것이다.
젊은 층의 실업으로 인한 공실률 상승 압력이 악재라면 같은 공실률 상승 압력이더라도 주택 보유 증가는 전체 경제에서 호재다. 공사는 낮은 모기지 금리에 주택 가격 하락으로 인해 내 집 구매가 늘어 임대 주택 공실률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고 기술했다.
메트로 밴쿠버 공실률은 4월 기준 2.9%다. 밴쿠버 공실률은 주택 구성에 따라 차이가 많아, 아파트 침실 3개형 또는 이상 주택 공실률은 1.9%로 낮지만 침실 2개형은 3.8%로 평균보다 높다. 아파트 침실 1개형은 2.8%, 스튜디오형은 2.2% 공실률을 보였다.
공실률 3.4%로 밴쿠버 보다 다소 높은 광역 빅토리아에서도 침실 3개형 또는 이상 공실률은 1.6%로 낮고, 전체 지역 임대 시장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임대용 침실 1개형 공실률은 3.7%로 평균보다 높다.
시외 지역 공실률은 큰 차이지난해 4월과 올해 4월 공실률을 비교해 낮아진 소도시 및 시외지역은 캠룹스(3.4%), 프린스 조지(2.6%), 크랜브룩(5.5%), 팍스빌(1.8%), 펜틱튼(3.3%), 프린스루펏(3.9%), 쿼넬(9%), 윌리엄스레이크(5.4%)이다.
공실률이 지난해보다 높아진 소도시 및 시외지역은 나나이모(8.3%), 버논(7.7%), 캠벨리버(9.1%), 도슨크릭(5.4%), 던컨(8.9%), 포트세인트존(3.7%), 파웰리버(6.5%), 새먼암(6.1%)이다.
임대료 상승폭 낮은 편지난 1년 사이 BC주의 임대료 상승세는 주택 구성에 따라 큰 차이가 났다. 침실 2개형 임대료는 2012년 4월부터 2013년 4월 사이 1.5% 올랐지만, 침실 1개형은 같은 기간 2.2% 상승했다. 참고로 BC주정부가 정한 2013년도 임대료 인상 한도는 3.8%다.
메트로밴쿠버 아파트 임대료를 보면 스튜디오는 890달러, 침실 1개형은 995달러, 침실 2개형은 1255달러, 침실 3개형 또는 이상은 1420달러다.
밴쿠버 아파트 임대료는 스튜디오부터 침실 2개형까지는 30~40달러가 올랐고, 침실 3개형은 평균 63달러가 올랐다.
밴쿠버 타운홈 임대료는 침실 2개형이 1260달러, 침실 3개형이 1434달러다. 타운홈 역시 침실이 많을수록 임대료 상승 비율이 높았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