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26일 캐나다 주택시장에 문제 요소가 2분기 연속 증가했다고 올해 1월 기준 분기별 주택시장 진단 보고서에서 지적했다.

CMHC 분기별 주택시장 진단 보고서는 네 가지 문제 요소를 관찰해 3단계로 평가한다. 문제 요소 중 하나인 과열(Overheating)은 집을 사려는 수요가 새로 나오는 주택 매물을 앞지를 때 내려지는 진단인데, 이번 보고서에서는 과열 진단을 받은 곳은 없다.

 가격 가속도(Price Acceleration)는 주택 가격이 얼마나 빠르게 오르느냐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가파른 가격 상승세가 일어나면 일부 투기가 이뤄진다고 해석하고 있다.  고평가(Overvaluation)는  소득·모기지 금리·인구 등 경제 기초가 현재 주택 가격을 뒷받침하지 않을 때 진단이 내려진다. CMHC는 이번 보고서에서 고평가와 주택 가격 상승세에 붙은 속도가 주요 시장에서 가시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주로 밴쿠버와 토론토에 가격 가속도와 고평가 문제가 집중돼 있다. 두 도시 인근 지역으로 고평가와 가격 가속도 문제가 확산했다는 진단도 내려졌다. 밴쿠버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빅토리아 집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고, 토론토-해밀튼도 마찬가지 현상이 일어났다. 고평가는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일어났다. 온타리오주 주택이 얼마나 올랐는가를 보여주는 사례로 CMHC는 캐나다 평균 주택 가격에 온타리오주가 미치는 영향을 지적했다. 캐나다 평균 주택가격은 물가 조정을 적용하면 지난해 3분기 마감 기준으로 1년 새 7% 올랐다. 그러나 온타리오주를 제외하면 가격은 거의 변동이 없다. 

과잉공급(Overbuilding)은 임대 주택 공실률과 새로 지어졌지만 팔리지 않은, 미판매 주택 비율을 토대로 진단한다. 과잉공급은 BC주 주요 도시를 제외한 서부 캐나다와 대서양 연안 일부 지역에 문제 요소로 지적됐다. 

보고서 주요 내용을 보면, ▲고평가와 과잉공급이 캐나다 전국 주요도시에서 가장 널리 퍼진 문제 요소다. ▲고평가와 과잉공급은 각각 8개 주요 도시에서 관찰됐다. ▲ 빅토리아 주택 시장에서는 가격 가속도가 붙은 가운데 새롭게 고평가가 일어났다. ▲캘거리에서는 석유의존 지역 주택 시장이 재조정되면서 문제 요소가 희석됐다. ▲밴쿠버, 토론토, 리자이나, 사스카툰, 해밀튼에서는 문제 요소가 강하게 남아있다. ▲오타와와 대서양연안 지역에서는 문제 요소가 희석됐다.

밥 듀건(Dugan) CMHC 수석경제분석가는 “캐나다 국내 문제 요소가 계속 강하게 감지되고 있다”며 “밴쿠버, 빅토리아, 토론토, 해밀튼 주택가격 상승은 투기가 원인으로, 인구유입·고용·소득 같은 경제 기반 성장세를 넘어서고 있다”고 진단했다. 듀건 수석은 “이런 이유로, 주택 구매자는 필요와 장기적인 시장 전망을 고려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리처드 조 CMHC 캘거리 담당 시장분석가는 “캘거리 주택 가격은 경제와 인구 기조에 맞춰나가고 있다”며 “종합 평가 결과를 보면 문제 요소가 강세에서 적정 수준으로 내려갔지만, 캘거리 임대 아파트 공실률이 상향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과잉공급은 여전히 우려 대상이다”라고 해설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