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레이저밸리부동산協 “지역 주택장세 개선 지속”
"구매자와 판매자가 8월 지역 부동산 시장에 대해 좀 더 신뢰감을 보이면서 지역 주택거래량은 예년 평균 수준에 가까워졌다"프레이저밸리부동산협회(FVREB)는 주택거래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8월 중 1258건이 지역 내에서 거래돼 지난해 8월 1073건보다 거래량이 17% 늘었으나, 지난 10년간 8월 평균보다는 여전히 13% 적은 편이라고 밝혔다.론 토드슨(Todson) FVREB회장은 "현재 시장을 가장 적절하게 묘사해보자면, 지속적이며 온건한 개선이 이뤄져 구매자와 판매자가 좀 더 신뢰감을 갖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토드슨 회장은 "지난 달 프레이저밸리 시장에서 이웃 주택매매시 제시된 구매호가를 받아들이는 판매자가 늘어나 흥정이 깨지는 경우가 적어졌고, 크기를 늘리든지 또는 수준을 높이든지 거주지를 격상시키려는 이들이 더 많이 보였다"며 "이런 관찰을 종합해 보면 , 좀 더 흔한 안정된 시장으로 복귀 중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새로 8월 동안 나온 매물은 2353건으로 지난해 8월 2406건보다 2% 감소했다. 전체 매물숫자는 1만127건으로 역시 지난해 8월보다 2% 줄었다.토드슨 회장은 "주택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수치로 현재 매물을 매각하는데 몇 개월이 걸리는가를 볼 수 있다"며 " 프레이저밸리 내 해당 수치는 8개월로 이는 균형시장 장세를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토드슨 회장은 균형시장 장세 진단에는 주택 가격의 안정세도 반영했다고 덧붙였다. 토드슨 회장은 프레이저밸리 주택 가격이 지난해와 비교해 일반적으로는 변화가 없거나 소폭 내렸지만, 주택 종류와 지역사회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부동산 중개사와 상담을 권한다고 말했다.8월 중 프레이저밸리 지역 단독주택 벤치마크 가격은 55만1000달러로 지난해 8월 55만1400달러에서 별다른 변동이 없었다. 타운홈 가격은 29만8200달러로 지난해 8월 30만3000달러보다 1.6% 내렸다. 아파트 벤치마크 가격은 20만3900달러로 1년 전 20만6600달러보다 1.3% 하락했다.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3-09-06 13:48:30
-
밴쿠버에서 자기 집을 유지하려면…
캐나다에서 내 집을 갖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로열은행(RBC)이 최근 발표한 주택동향보고서에 따르면, 범위를 BC주로 좁혀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RBC는 “올 2분기 BC주 주택보유비용지수(Home Affordability Index: HAI)가 1층 단독주택은 67.6%, 2층 단독주택은 72.8%로 각각 1.1%포인트, 0.8%포인트 올랐다”고 밝혔다.HAI는 지역 평균소득 대비 주택보유비용(모기지, 재산세, 전기세 등)을 나타낸 수치다. 만약 HAI가 50이라면 주택 유지에 평균소득의 절반이 사용된다는 얘기다.밴쿠버 지역 HAI는 BC주 평균을 훌쩍 상회한다. 2분기 밴쿠버 지역 HAI는 1층 단독주택의 경우 2.2%포인트 오른 82.1%를 기록했다. 2층 단독주택 HAI는 이보다 높은 85.8%로, 이 역시 그 부담이 1.1%포인트 무거워졌다. 밴쿠버에서 콘도를 보유하기 위해서는 평균소득의 40.7%를 써야 한다. 한편 밴쿠버의 HAI는 다른 대도시와 비교할 때 그 수치가 매우 높고 상승 속도도 빠른 편이다. 1층 단독주택을 비교 기준으로 삼는다면, 토론토의 HAI는 54.5%로 오름폭은 0.5%포인트다. 몬트리올 HAI는 오히려 0.7%포인트 낮아진 38.1%였으며, 캘거리의 경우 전분기와 같은 33%로 나타났다.RBC는 “2분기 들어 BC 지역 HAI가 높아지긴 했지만, 1년 전과 비교했을 때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3-08-27 15:15:09
-
모기지 이자율 또 다시 인상돼도 주택시장 전망은 밝은 편
캐나다 주요 시중은행들이 약 두 달만에 또 다시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이자율을 상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로열은행(RBC)은 21일자 보도자료를 통해 5년만기 특별 고정금리를 3.89%로 0.20%포인트 올린다고 밝혔다. 이 은행이 공시한 5년만기 고정금리는 5.34%로 이 또한 0.20%포인트 인상됐다. 이 같은 이자율은 22일을 기점으로 곧바로 적용됐다.몬트리올(BMO)은 RBC보다 하루 앞선 20일 5년만기 특별 고정금리를 3.79%로 올렸다. 이 은행은 지난 3월 모기지 이자율을 2012년 초반 이후 최저 수준인 2.99%까지 내려 시장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일부에서는 “캐나다주택보험공사(CMHC)가 이달 초 모기지 보증 한도액을 월3억5000만달러로 낮춘 것이 이자율 추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측한다. 보증 한도액이 낮아지면 부실 채권으로 인한 부담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한편 BC부동산협회(BCREA) 자료만 놓고 보면, 모기지 이자율 인상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로선 크지 않을 것으로 점쳐진다. BCREA는 2013년 3분기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올해 주택 판매량은 3.9%는 늘어난 7만300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에는 판매량이 7만4600채까지 증가하면서 5년 평균치를 회복할 것이라는 게 BCREA의 예상이다.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3-08-22 15:08:36
-
-
서울 月貰살이, 傳貰보다 2년에 1000만원 더 들어
서울에 사는 월세 세입자는 전세를 사는 사람보다 주거 비용으로 연간 490만원가량을 더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동산114가 2011년부터 2013년 6월까지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 자료 약 37만건을 분석해 평균 주거 비용을 계산한 결과다.전세 세입자의 경우 전세금의 70%를 연이율 4.3%로 2년간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을 때 내야 하는 이자를 주거 비용으로 계산했다. 그 결과 2년간 평균 1549만원을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보
증부 월세(반전세)나 순수 월세 세입자의 경우에는 전세 세입자와 같은 조건으로 보증금 대출을 받을 때 내야 하는 이자에다 매월
지불한 월세를 합해 주거 비용을 산출했는데, 2년간 주거비가 평균 2521만원이었다. 결국 월세 사는 사람이 전세 사는 사람보다
평균 972만원을 더 내고 있다는 것이다.지역별로는 서울 서초구가 월세 세입자와 전세 세입자의 주거비 격차가 1638만원으로 서울 자치구 중 가장 컸다. 다음으로 용산구(1516만원), 종로구(1372만원), 강남구(1344만원) 순이었다.부동산114 장용훈 선임연구원은 "교통, 학군, 편의시설 등이 잘 갖춰져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을수록 월세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컸다"며 "비싼 월세를 내더라도 살고 싶어하는 수요자들이 많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정한국 기자
2013-08-19 14:05:11
-
“BC주 부동산 투자 전망 가장 밝은 곳은 써리”
부동산 투자자에게 투자하기 좋은 도시로 써리가 밴쿠버를 앞서고 있다고 리얼이스테이트인베스트먼트네트웍스(REIN)사가 BC주 최고의 부동산 투자지역 10선 보고서를 통해 발표했다.REIN사는 써리를 4년 연속 BC주 최고의 부동산으로 뽑았다. 올해 이변은 5년래 처음으로 밴쿠버가 10위 밖으로 밀려난 것이다.돈 캠벨(Campbell·사진) REIN사 CEO는 써리가 1위에 선정된 배경은 인구증가와 일자리증가, 부동산시장 접근성 때문이라며 주택 구매 후 임대할 계획인 투자자에게 적절한 투자처라고 평가했다. 반면에 밴쿠버가 10위 밖으로 벗어난 주원인은 부동산 가격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캠벨 CEO는 "현금흐름이 없는 투자는 투자가 아니라 투기"라고 지적했다. 밴쿠버시 부동산 투자자가 양적인 현금흐름을 유지하려면, 최소한 50만달러를 다운페이먼트로 내서 모기지 상환액을 충분히 최소화해야 임대수입이 모기지와 각종 세금, 관리비와 기타 지출을 초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캠벨 CEO는 써리는 BC주에서 가장 큰 도시로 성장하는 궤도에 올라와 이미 자체 인구가 50만명을 넘었고, 2041년에는 74만명까지 늘어날 것이라며, 이러한 거주자 증가는 임대 주택에 안정적인 수요를 제공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코스트캐피탈세이빙스같은 대형 기업 본사가 써리에 오랫동안 자리하고 있고, 새로 본사를 시내에 확장하고 있다. 새로 건설된 사우스프레이저프리미터로드(SFPR)와 10차선으로 확장된 포트맨브리지 덕분에 운송·유통 회사의 써리 진입도 이뤄지고 있다.거의 완공단계에 이른 또 다른 주요 프로젝트로는 5억1200만달러 규모 써리메모리얼병원 확장과 8700만달러가 투자된 시청 및 시빅플라자 프로젝트가 있다. 다이앤 와츠(Watts) 써리 시장은 매년 2000~2200개 업체가 써리에서 설립되는데, 이들 대부분은 시티센터지역 성장에 보탬이 되고 있다. 최근 개발허가를 받은 사업으로는 센츄리그룹(Century Group)이 1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52층 주상복합타워를 건설할 예정이다. 콩코드퍼시픽(Concord Pacific)은 3동의 타워 건설 계획을 진행 중이고 SFU는 센트럴시티쇼핑센터에 학교 규모를 확장해왔다. 캠벨CEO는 "만약 써리가 대중교통 예산을 늘린다면, 써리시는 투자처로 좀 더 주목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REIN사 연구결과 주택이 경전철이나 전철역에서 걸어갈 수 있는 거리 또는 약 800미터 이내 역세권에 있으면, 주택의 가치는 역세권 밖의 비슷한 주택보다 대략 15%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B라인(B-Line) 같은 도심을 관통하는 고속버스노선 정류장에는 역세권에 따른 가치상승 효과는 없다.캠벨CEO는 써리시내 주택에 투자할 때, 주택소유주들은 베이스먼트 임대나 뒷마당 별채 임대를 시청이 금지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캠벨CEO는 이웃의 민원이 있지 않은 한 시청은 베이스먼트나 별채 임대 단속에 소극적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으나, 와츠 시장은 단독주택 지역내 주차공간문제 해소를 위해 관련 시조례는 필수라고 강조했다.와츠 시장은 "써리는 메트로밴쿠버에서 가장 재산세율이 낮고, 사업세도 2번째로 낮다"며 "이러한 저세율은 사람들이 투자를 결정할 때 검토하는 부분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자료원=Business in Vancouver(BIV)밴쿠버 조선일보는 BIV와 제휴해 기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REIN이 선정한 BC주 10대 부동산투자지1. 써리2. 메이플리지와 피트미도3. 포트세인트존4. 도슨크릭5. 캠룹스6. 애보츠포드7. 켈로나8. 칠리왁9. 프린스조지10. 랭리
권민수 기자
2013-08-16 11:02:00
-
밴쿠버 신규주택 착공량 다소 늘었다
7월 밴쿠버 지역 실제 주택 착공량이 2012채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00채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시장에서는 콘도 건설 부진을 착공량 감소의 주된 이유로 보고 있다.캐나다주택보험공사(CMHC)가 제시한 또 다른 기준을 살펴보면 연간착공물량(SAAR. 계절적 영향을 토대로 연간 착공량을 계산하는 것)은 다소 늘어나는 추세다. 7월 기준으로 SAAR은 2만3683채로 전달보다 1000여채 늘어났다. 6개월 이동 평균으로 계산한 SAAR은 7월 기준으로 1만8888채로 이 또한 6월보다 1300채 증가했다.로빈 애드매드맥(Admache) CMHC 선임 연구원은 “다세대 주택 착공이 늘어난 것이 전체 추세에 영향을 주었다”며 “단독주택 착공도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메트로 밴쿠버의 각 도시의 7월 실제 착공량을 살펴보면 밴쿠버가 656채로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코퀴틀람(356채), 버나비(321채), 써리(220채)가 이었다.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3-08-09 15:47:36
-
캐나다 주택용 토지 거래 올해들어 시들
-"인기 있던 단독주택 정점 도달"-"콘도-아파트는 정점, 가격 조정"-"중간밀도용지, 타운홈 인기 끌것"밴쿠버부동산협회(REBGV)와 프레이저밸리부동산협회(FVREB) 등 BC주 주요 부동산 협회는 7월 회복세를 발표하며 앞으로 시장에 대해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러나 캐나다 전국적으로 봤을 때 부동산 투자 경기는 올해 상반기에 걸쳐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부동산시장분석 전문업체 리얼넷 캐나다는 주요도시의 주거용 토지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거래량은 지난해보다 30%에서 최대 52%까지 줄었다고 7일 발표했다. 특히 광역토론토(GTA) 주거용 토지투자는 2012년 상반기보다 51%가 줄었고, 새집, 저층·고층 주택 판매도 같은 기간 34% 감소했다. 밴쿠버와 캘거리 주거용 토지 거래도 각각 30%와 52%씩 줄었다. 주거용 토지 거래 감소는 앞으로 새로 지어지는 주택 감소를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리얼넷은 "토론토지역 주거용 토지와 새집 시장은 장기간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온 가운데, 최근의 토지거래는 새 주택 공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리얼넷은 캐나다 시장에서 인기 있던 저밀도주거용지와단독주택 인기가 최근 다소 주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05년 이래 저밀도주거용지 가격은 필지 1에이커당 평균 79% 상승했지만, 올해 들어 첫 6개월 동안 해당 필지는 16% 하락해 에이커당 평균 54만8304달러에 거래됐다. 단독주택 가격은 평균 76만4144달러로 올랐지만, 거래량 자체는 39% 감소했다. 리얼넷은 현재 캐내다 전국의 새 단독주택 가격이 정상에 가까워지고 있거나, 또는 정상에 도달했다고 보고 있다. 캐나다 전국 새 단독주택 평균가격은 76만4144달러다.콘도-아파트처럼 고밀도 주택 평균 가격은 평방피트당 577달러선을 유지하고 있다. 콘도-아파트 가격은 지난 2년6개월 동안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단 광역 토론토에서는 고밀도주거용지의 가격이 2005년 이래로 97% 오른 평방피트당 56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완성된 콘도-아파트는 60% 오른 평방피트당 57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얼넷은 캐나다 전국적으로 콘도-아파트의 가격은 정점에 있으며, 월간 거래량은 지난해에 비해 감소추세인 점을 들어 고밀도 주택용지의 가격은 앞으로 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타운홈처럼 중간밀도 주택이 들어서는 용지의 가격은 토론토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리얼넷은 에이커당 중간밀도주거용지는 2005년 이래 220% 오른 179만5302달러를 기록했고, 타운홈가격도 69% 오른 평균 52만6834달러라고 집계했다. 리얼넷은 중간밀도 주택용지와 타운홈 가격의 상승은 단독주택과 콘도-아파트 가격 상승에 기인했다고 밝혔다. 저밀도와 고밀도 용지 가격이 다년간 오르면서 중간밀도 용지와 주택이 주목받고 있다는 해석이다. 리얼엣은 장기적으로 볼 때 최종소비자와 주택 개발업자 사이에서 중간밀도 용지와 주택의 인기가 늘어 이 부분의 가격 상승은 이어진다고 보았다.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3-08-09 15:04:25
-
-
전국 새집 가격은 계속 오르는데…
6월 전국 새집지수가 월간 기준으로 0.2% 오르면서 전달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밴쿠버의 신규주택 시장은 이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밴쿠버 지역 새집지수는 월간 기준으로 0.2% 떨어졌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하락률은 -1.1%다. BC주내 또 다른 주요 도시인 빅토리아의 새집값 하락률은 이보다 더 큰 1.4%다.전국 평균을 끌어올린 지역은 캘거리다. 이 지역 새집 가격은 0.5% 인상됐다. 연간 상승률은 5.3%로 밴쿠버의 사정과는 크게 달랐다. 건축업자들은 “자재비, 인건비, 택지 부담이 높아진 것이 집값 상승의 주된 이유”라고 밝혔다. 이외 토론토 오샤와 지역의 새집 가격은 연간 기준으로 2.2%, 위니펙은 5.3%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3-08-08 12:38:09
-
프레이저밸리부동산協 “예전 모습 되찾은 시장”
여름철을 맞이해 프레이저밸리 부동산 시장은 7월 동안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주택거래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거래와 매물이 모두 증가했다.7월 거래량은 1456건으로 지난해 7월 1393건보다 5% 늘었고, 6월보다도 10% 늘었다. 2004년 이래로 6번째로 많은 7월 거래를 보였다. 레이 벤저(Werger) 프레이저밸리부동산협회(FVREB) 회장당선자는 "여름 휴가철 동안 거래량이 늘어나는 상황은 드문 편인데, 올해는 20년 이상 부동산 중개사로 일하면서 가장 바쁘게 일했다"며 "10년래 최악의 6월에서 평균보다 약간 낮은 7월로 넘어왔다면 기대하기도 어렵고 이상하게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났다"고 밝혔다.벤저 회장당선자는 "매우 침체됐던 겨울철 동안 누적된 수요가 움직이는 가운데, 모기지 금리의 소폭 변화가 많은 구매자 사이에서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가운데 날씨 효과도 과소평가할 수 없는 사안이다" 라며 "구매자나 판매자 모두 정상적인 균형장세로 복귀를 좋은 뉴스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7월 매물대비판매율은 14%, 단독주택과 타운홈은 18%로 균형 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새로 발생한 매물은 2777건으로 지난해 7월 발생한 매물보다 5% 적으나, 6월보다는 6% 많다. 전체 매물은 1만428건으로 1년 전보다 4% 적다.프레이저밸리 단독주택 벤치마크 가격은 55만1000달러로 지난해 7월 55만1400달러에서 큰 변동은 없다. 타운홈 벤치마크 가격은 29만7800달러로 지난해 7월 30만3400달러보다 1.8% 내렸다. 아파트 벤치마크 가격은 지난해 7월 20만2000달러로 지난해 20만6200달러보다 2% 내렸다.벤저 당선자는 "연간 비교를 해보면 가격은 안정세 또는 소폭 내렸지만, 지난 6개월 간 동향을 보면 모든 종류의 주택 가격이 1~2%씩 올라 평균적인 또는 일반적인 시장으로 귀환을 암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3-08-02 14:10:04
-
밴쿠버부동산協 “7월 주택 거래 증가”
밴쿠버부동산협회(REBGV)는 주택거래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7월 주택 거래량이 2946건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달 2098건보다 40.4%, 올해 6월 2642건보다 11.5% 증가했다고 밝혔다. 7월 거래량은 10년간 7월 평균 거래량보다 0.1%포인트 많았다. 샌드라 와이언트(Wyant) REBGV회장은 "지난 몇 개월 사이 시장 내에 수요 증가가 보이는데, 일부는 지난해 말에 보인 침체 당시 눌렀던 수요가 이제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시장 추이를 보며 기다렸던 이들 일부가 7월에 집을 샀다는 의미다.7월 동안 새로 나온 주택 매물은 4854건으로 지난해 7월 4802건보다 1.1% 늘었으나, 올해 6월 4874건보다 0.4% 감소했다. MLS기준 총 매물은 1만6618건으로 1년 전보다 8.1% 적고 6월보다도 3.9% 적다. 매물대비판매율은 6월부터 7월 사이 2.5%포인트 상승해 17.7%를 기록, 2012년 4월 이래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MLS가격지수 종합벤치마크 가격은 60만1900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3% 하락했다. 단, 지난 6개월간 평균에 비하면 2.3% 오른 가격이다. 와이언트 회장은 "올해 들어 주택가격은 최소한의 흔들림을 보이면서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지속하고 있다"며 "가격 안정은 매매 과정에도 안정감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7월 단독주택 거래량은 1249건으로 지난해 7월 787건보다 59% 늘었다. 2011년 단독주택 거래량 1099건보다도 13.7% 늘은 수치다. 단독주택 벤치마크 가격은 지난해 7월보다 3.1% 하락한 92만500달러다.아파트 거래량은 1210건으로 1년 전 927건보다 31%. 2년 전 1040건보다 16.3% 증가했다. 아파트 벤치마크 가격은 1년 새 1.6% 내린 36만8300달러다. 타운홈 거래량은 7월 동안 487건으로 12개월 전 384건보다 27% 늘고, 24개월 전 432건보다 12.7% 늘었다. 타운홈 벤치마크 가격은 12개월 전보다 2.6% 내린 45만6700달러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3-08-02 13:4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