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공무원들이 노리는 ‘먹을 알’
북한에서 공무원(civil servant)은 머리가 좋거나 능력 있다고(be bright or capable) 될 수 있는 게 아니다. 임용 시험이나 절차(civil service exams or procedures)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다. 인사 배치(personnel assignment)는 출신 혈통과 배경에 의해 정해진다(be determined by their lineage and background).북한의 ‘공무원자격판정법’ 제2조는 공무원을 ‘국가기관에서 일정한 행정적 의무와 권한(certain administrati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6-12 11:49:54
-
내가 한국인들에게 희망 갖는 이유
‘한국인들에게 희망을 갖고 낙관하는 이유(Reason for optimism
and hope for Koreans).’ ‘한국민은 큰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face big
challenges), 긍정적 메시지가 힘과 내구력을 길러줄(build their strength
and stamina) 것.’ 세계적 석학(world-renowned
scholar)인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사회학과 샘 리처드 교수가 언론에 기고한 글의 제목과 부제다.
“나는 가끔 한국인들로부터 왜 강의 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문젯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6-05 11:38:02
-
여객기 승무원과 승객의 첫 만남
여객기 승무원(flight attendant)을 땅과 하늘을 잇는
교량, 하늘의 외교관(diplomat)이자 수호천사(guardian angel)라고 부른다. 제주발 대구행 아시아나 승무원들이
느닷없이(out of the blue) 비상문을 열어 제친 난동 승객(riotous
passenger) 때문에 곤욕을 치렀다.
승무원들은 탑승구에서 천사 같은 상냥한 미소(tender smile)와
외교관 같은 영혼 없는 인사(soulless greeting)로 승객들을 맞이한다. 그런데 그 짧은 만남 사이에(i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5-30 08:38:07
-
난초형 vs. 민들레형 아이
난초(orchid)와 민들레(dandelion)는
완연히 다른 특징(distinct characteristics)을 가졌다. 다른 정도가 아니라 대조적이다(be contrasting).
난초는 기생식물(parasitic plant)은 아니지만, 다른 식물을 지지 구조물(support structure)로 삼아
자라는 착생식물이다. 흙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는(absorb
nutrients from the soil) 것을 도와주는 균근균(菌根菌)과 공생 관계(symbiotic relationship)로 성장한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5-15 08:55:55
-
-
K드라마 “To dub or to sub, that is the question”
한국 영화·드라마가 세계적 인기를 얻으면서(gain global popularity) 외국 시청자들에겐 뜻하지 않은 고민이 생겼다. 자국어로 재녹음 더빙된(be dubbed with their own
language) 것을 볼 것인지, 원래 언어인 한국어를 자막으로 볼(watch the original language with subtitles)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똑같은 내용이지만, 감흥에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한 예로 미국인 97%는 비영어권 드라마·영화를 시청한 경험이 있으며, 한국 영화 ‘오징어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5-08 08:57:57
-
체중 감량 운동은 아침, 근력 운동은 저녁
살을 빼거나(lose weight) 근육을 키우는 데(build muscle) 이상적인 시간이 따로 있다고 한다. 전문가들이
시간대별 운동 장단점을 가늠해본(weigh up pros and cons of workouts at
different times) 결과, 효율
(efficiency)이 다르게 나타났다.
체지방을 줄이고(shed body fat) 싶다면 아침에 하는 것이
낫다. 아침에는 정신을 깨어있게 하는(keep awake and
alert) 코티솔과 성장 호르몬(growth hormone)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5-01 09:02:18
-
감사하면서 살면 장수하는 이유
“감사한다는 것은 인생을 선물로 느끼는 능력(ability to
experience life as a gift)이다. 감사함은 자기 집착의 감옥에서 해방시켜준다(liberate you from the prison of self-preoccupation).” – 미국 종교인
존 오트버그
감사하는 마음으로 삶을 대하다 보면(face life with a
grateful heart) 더 오래 더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live a longer and
happier life) 한다. 영국의 신경과학자(neur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4-24 09:41:42
-
물·칵테일에 띄워진 레몬 조각의 배신
레몬은 천연 살균제(natural germ-killer) 성분을 갖고
있다. 게다가 식욕을 줄여(reduce appetite) 체중
감량에 도움을 주고(help lose weight), 질병을 방지해주며(keep you from getting sick), 소화를 도우면서(aid
digestion) 비타민 C 공급을 활성화해준다. 간
기능을 증진시키고(improve liver function) 칼륨 수준을 높여주면서(increase your potassium levels) 결석(結石)을 예방하고(prevent kidney st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4-17 08:59:00
-
-
미처 몰랐던 김치의 영양가와 효능
“김치는 맛이 좋은 만큼 건강에도 좋은(be as healthy as it
is tasty) 한국의 수퍼푸드다. 김치를 아직 못 먹어봤다면, 당신은 활생균(probiotics), 산화방지제(antioxidant), 여러 종류의 비타민, 섬유질(fiber) 등 많은 건강상의 이득을 놓치고(miss out on many
health benefits) 있는 것이다.” 야후 영문판 김치 소개 기사의 첫 문장이다. 김치의 영양가(nutritive value)와 건강 효능(effectiveness on health)에 주목한 이 기사는 이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4-03 09:10:40
-
“한국인들의 명품 강박관념과 허세”
“가진 것 있으면 잘난 척해라(flaunt it). 없으면 갖게 될
때까지(till you make it) 허세를 부려라(fake
it).”
필리핀 매체 인콰이어러가 ‘돈 자랑하기 경쟁(A race to flex). 한국에선 왜 부유함을 뽐내는(show off
wealth) 것이 미덕(virtue)일까’라는
제목으로 보도한 기사 일부다. 낯 뜨겁게(feel shameful) 하는
내용 일색이다.
“겉치레가 우선인 한국에선 부자임을 으스대거나(boast of riches),
최
윤희영 조선일보 에디터
2023-03-28 09:06:02